2020/02/11 2

[Protocol] OAuth 2.0 - API 무작정 쓰지말고 원리를 이해하자

💡 OAuth(Open Authentification)2.0 "웹, 앱 서비스에서 제한적으로 권한을 요청해 사용 할 수 있는 키를 발급해주는 것"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,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 인증 방법으로 구글, 페이스북, 트위터 등이 사용하고 있으며, 타사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의 계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. 또한, 인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가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는 **범용 프레임워크**이다. **OAuth의 구성** Resource Owner(OAuth를 사용하는 사람) ⭐⭐⭐ Authorization Server(OAuth 인증 서버..

기술면접대비 2020.02.11

[Web] 웹 서버와 WAS의 차이를 쉽게 알아보자

서버 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'웹 서버'와 'WAS(Web Application Servier)'의 차이점을 다뤄보려고 한다. 💡 웹 서버 사전적 정의 "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" 웹 서버란 클라이언트(사용자)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. 여기서 정적 컨텐츠란 단순 HTML 문서, CSS, javascript, 이미지, 파일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이다. 그렇다면 웹 서버는 정적 컨텐츠만 제공하느냐? 그것은 아니다. 웹 서버가 동적 컨텐츠를 요청 받으면 WAS에게 해당 요청을 넘겨주고, WAS에서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(사..

기술면접대비 2020.02.11